mytinylibrary » Life » (미국일상) 부림절, Purim Celebration, 유대인 절기, 코스튬으로 바빴던 일주일, 하만타센

(미국일상) 부림절, Purim Celebration, 유대인 절기, 코스튬으로 바빴던 일주일, 하만타센

부림절의 어원

3월 초부터 아이 유치원이 있는 유대인 커뮤니티에는 <Purim Celebration>이라는 팻말이 걸렸다. 퓨림(Purim)은 한국말로는 부림절이라고 하는데, 어원은 에스더서에 나오는 하만이 푸르 (부르: 주사위)를 던져 유대인을 학살할 날짜를 정한데서 부림절이라는 말이 생겼다. (에스더서 9장) 

구약성경의 에스더서는 악인하만으로부터 이스라엘 국민을 기도로 구해내는 페르시아의 왕비인 에스더와 그의 삼촌인 모르드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에스더서 9장

24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모든 유다인의 대적 하만이 유다인을 진멸하기를 꾀하고 부르 곧 제비를 뽑아 저희를 죽이고 멸하려 하였으나
25 에스더가 왕의 앞에 나아감을 인하여 왕이 조서를 내려 하만이 유다인을 해하려던 악한 꾀를 그 머리에 돌려보내어 하만과 그 여러 아들을 나무에 달게 하였으므로
26 무리가 부르의 이름을 좇아 이 두 날을 부림이라고 유다인이 이 글의 모든 말과 이 일에 보고 당한 것을 인하여
27 뜻을 정하고 자기와 자손과 자기와 화합한 자들이 해마다 그 기록한 정기에 이 두 날을 연하여 지켜 폐하지 아니하기로 작정하고
28 각 도, 각 읍, 각 집에서 대대로 이 두 날을 기념하여 지키되 이 부림일을 유다인 중에서 폐하지 않게 하고 그 자손 중에서도 기념함이 폐하지 않게 하였더라
29 아비하일의 딸 왕후 에스더와 유다인 모르드개가 전권으로 글을 쓰고 부림에 대한 이 둘째 편지를 굳이 지키게 하되
30 화평하고 진실한 말로 편지를 써서 아하수에로의 나라 일백 이십 칠도에 있는 유다 모든 사람에게 보내어
31 정한 기한에 이 부림일을 지키게 하였으니 이는 유다인 모르드개와 왕후 에스더의 명한바와 유다인이 금식하며 부르짖은 것을 인하여 자기와 자기 자손을 위하여 정한 바가 있음이더라
32 에스더의 명령이 이 부림에 대한 일을 견고히 하였고 그 일이 책에 기록되었더라

Purim Celebration

2025년의 부림절은 3/13(목) ~ 3/14(금)으로, 부림절이 있는 주말 주중에는 저마다 다른 드레스코드와 이벤트가 있어 준비로 분주했다. 

 

부림절이 시작하는 일요일에는 커뮤니티 건물에서 어린이용 라이드 및 여러 활동들을 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만들어놓았다. 드레스 코드는 코스튬, 우리 딸은 이번 4살 생일 선물로 받은 엘사 옷을 입었다. 

 

도착하자마자 $30불로 36크레딧에 대한 놀이활동을 할 수 있는 티켓을 구매했다. 간단한 게임은 1크레딧, 놀이기구는 2-4크레딧, 솜사탕은 3크레딧이었다. 인어공주와 라푼젤 드레스를 입은 유치원 친구들과 만나 솜사탕을 먹고 바운서도 뛰놀았다. 남은 크레딧으로는 문구류를 사왔다.

유치원에서는 일주일 내내 매일 드레스코드가 정해져있었다. 

월 : Pajama Day
화 : Tie Dye Day
수 : Super Hero Day
목 : Costume from Home
금 : Class Costume Day 

여자아이에게는 슈퍼히어로라고 할만한 옷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부랴부랴 원더우먼 코스튬을 아마존에서 주문했다. 

 

아이는 그 다음 날 코스튬은 공주님 드레스를 입겠다 선언했다. 집에 미녀와 야수에서 벨의 노란드레스가 유일한 코스튬이 있었지만 부피가 커서 유치원에 있는 시간동안 활동하기엔 어려울 듯했다. 그 날 저녁 Target에서 본인이 원하는 엘사와 인어공주 드레스를 한개씩 사왔다. 그리고 당일날 벨의 노란 드레스를 입고 갔다. 하?!

하만타센(Hamantaschen)

마지막 클래스 코스튬데이에는 아이 몸만한 <하만타센>’을 목에 걸고 커뮤니티 안을 행진했다. 우연히 등원을 마치고 남아있던 엄마들이 영상을 보내주셨다.

 

유치원에서 돌아온 아이는 목에 걸고 행진 하만타센을 들고왔다. ‘이게 뭐야?’라는 나의 질문에 아이는 ‘하만타센이예요’라고 알려주었다. 똑같이 생긴 모양의 쿠키도 먹었어요.

 

하만타센이 뭐지 하며 구글 검색을 했는데 “하만의 귀” 모양 쿠키라는 것에 충격받았다. 스스로는 잔인하다라고 생각이 되었다. 악인의 귀 모형을 아이들이 그리기도 하고 쿠키로 구워서 먹다니… “너무 다른 문화다”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계속 찾아보니 하만의 주머니라는 의미도 있다는 걸 알았다. 

하만타센은 이스라엘 전통과자로 구약성경 에스더서에 나오는 하만의 주머니 또는 귀라고 한다. 하만이 이스라엘 백성들을 학살하기 위해 사용한 일만 달란트를 의미하거나, 사형에 처해질때 귀가 먼저 잘렸다 하여 그의 귀를 뜻하기도 한다.

 

하만타센은 ‘하만의 주머니’를 의미하는 이디시어( 고지 독일어를 바탕으로 한 방언에 히브리어, 유대 아람어, 슬라브어 및 로망스어 계열의 요소들이 결합된 언어)로, 하만(Haman) + 주머니 또는 가방(단수 Tash, 복수 Taschen)이 결합된 단어이다. 

하만타센은 오즈네이 하만 (하만의 귀)라고도 한다.

삼각형으로 된 반죽 안에 잼, 과일, 견과류, 양귀비씨 등을 넣어 만든 쿠키로 부림절을 기념한다고 한다. 삼각형 반죽모양은 하만의 세모난 모자 또는 상징주의로 세 모서리가 에스더 여왕의 힘과 유대교 창시자인 아브라함, 이삭, 야곱을 나타낸다고도 한다. 

하만타센, Hamantaschen, Purim, 부르, 부림절, 퓨림, 푸림, Hamantash, 하만, 구약, 에스더
아이가 부림절에 만든 하만타센

에스더서 3장

5 하만이 모르드개가 꿇지도 아니하고 절하지도 아니함을 보고 심히 노하더니
6 저희가 모르드개의 민족을 하만에게 고한고로 하만이 모르드개만 죽이는 것이 경하다 하고 아하수에로의 온 나라에 있는 유대인 곧 모르드개의 민족을 다 멸하고자 하더라
7 아하수에로왕 십 이년 정월 곧 니산월에 무리가 하만 앞에서 날과 달에 대하여 부르 곧 제비를 뽑아 십이월 곧 아달월을 얻은지라
8 하만이 아하수에로왕에게 아뢰되 한 민족이 왕의 나라 각 도 백성 중에 흩어져 거하는데 그 법률이 만민보다 달라서 왕의 법률을 지키지 아니하오니 용납하는 것이 왕에게 무익하니이다
9 왕이 옳게 여기시거든 조서를 내려 저희를 진멸하소서 내가 은 일만 달란트를 왕의 일을 맡은 자의 손에 부쳐 왕의 부고에 드리리이다
10 왕이 반지를 손에서 빼어 유다인의 대적 곧 아각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하만에게 주며
11 이르되 그 은을 네게 주고 그 백성도 그리하노니 너는 소견에 좋을대로 행하라 하더라
12 정월 십 삼일에 왕의 서기관이 소집되어 하만의 명을 따라 왕의 대신과 각 도 방백과 각 민족의 관원에게 아하수에로왕의 이름으로 조서를 쓰되 곧 각 도의 문자와 각 민족의 방언대로 쓰고 왕의 반지로 인치니라
13 이에 그 조서를 역졸에게 부쳐 왕의 각 도에 보내니 십이월 곧 아달월 십 삼일 하루동안에 모든 유다인을 노소나 어린 아이나 부녀를 무론하고 죽이고 도륙하고 진멸하고 또 그 재산을 탈취하라 하였고
14 이 명령을 각 도에 전하기 위하여 조서의 초본을 모든 민족에게 선포하여 그 날을 위하여 준비하게 하라 하였더라
15 역졸이 왕의 명을 받들어 급히 나가매 그 조서가 도성 수산에도 반포되니 왕은 하만과 함께 앉아 마시되 수산성은 어지럽더라

댓글 남기기